심장 전도 시스템: 동방결절 - 방실 결절 - 히스속 - 속가지 - 심실
정상일 때
: 좌심압 > 우심압
: 체순환 저항 > 폐순환 저항
좌우단락(left to right shunt): 좌심(고압) → 우심(저압)
우좌단락(right to left shunt): 우심(조압) → 좌심(고압)
비청색증형 심장질환: 좌우단락형
① 심실중격결손 (venticular septal defect, VSD)
-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있음.
- 좌심(고압) → 우심(저압) =>좌우단락
② 심방중격결손 (atrial septal defect, ASD)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있음.
- 좌심(고압) → 우심(저압) => 좌우단락
③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us)
- 동맥관이 출생 일주일 내에 닫히지 않는 것.
동맥관: 동맥과 동맥 사이에 뚫린 공간으로, 동맥관을 통해 태아순환이 이루어진다.
태아순환: 폐동맥 → 동맥관 → 대동맥
청색증형 심장질환: 우좌단락형
① 활로 4 징후 (Tetralogy of Fallot, TOF)
- 4가지의 구조적 결함 (폐동맥 협착증, 우심실 비대, 심실중격결손, 대동맥 우측 전위)
→ 혈류 감소와 우심실 비대를 초래
- 폐동맥 협착으로 우심실에서 혈액 박출이 안 됨
→ 우심실 압력 증가 → 우심실 압력>좌심실 압력
→ 심실중격결손으로 정맥혈이 우심실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이동함. (우좌단락 발생)
② 심부전(heart failure): 심박출량이 요구를 충족하지 못함.
전방 부전(forward failure)
- 조직 요구에 응할 수 있게 정상보다 과량의 혈액을 내보낼 때
- 심장이 비대, 확장됨.
- 고박출성 장애
- 만성빈혈, 동정맥 단락,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발생함.
역행성 부전(back pressure failure)
- 충분한 혈액을 내보내지 못할 때
- 저박출성 장애
- 고혈압, 국소빈혈성 심질환, 심근염이 발생함.
- 우심부전: 우심실의 심박출량 저항 → 우심방압 증가 → 중심정맥압 증가 → 각 장기 울혈 → 전신 부종
- 좌심부전: 좌심실의 심박출량 저하 → 좌심방압 증가 → 폐울혈, 폐부종
→ 폐고혈압으로 우심실 압력 부하 → 우심실 심박출량 감소 →우심부전
심부전 증상: 동공확대, 피부 창백, 회색, 청색증, 호흡곤란, 기좌호흡, 악설음, 기침, 혈압 감소, 오심과 구토, 복수, 부종, 불안, 산소포화도 감소, 혼동(혼란), 경색, 피로, 제3심음, 비대된 비장과 간, 소변량 감소, 약한 맥박, 차갑고 축축한 피부
허혈성 심질환
(허혈 ischemia: 동맥으로 들어오는 혈액량 감소)
: 어딘가 막혀 혈액이 잘 가지 못해 국소적인 빈혈상태가 됨.
- 심장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으로 발생.
- 심장동맥혈류 감소: 동맥경화증, 혈관 경련, 혈전증 등
- 혈액 공급<산소 수요 → 빈맥, 심장근육비대
- 산소 운반이 감소되는 저산소: 청색성 심장 질환, 일산화탄소 중독, 흡연
협심증(angina pectoris): 심장의 어딘가가 뚫려있음.
- 심근 대사에 필요한 산소 부족으로 발생함.
- 스트레스, 운동량 증가, 추위 시 빈발
- 짧은 시간 동안 흉통이 있음. 15초~15분 정도 지속됨.
- 경색 유발하지 않음.
- 심장벽 혈관의 경련, 경화, 폐색 등에 의해 일어나는 격한 통증발작 증세가 나타남.
- 가슴을 졸라매는 듯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남.
- 목, 어깨, 왼쪽 팔 등으로 통증이 퍼짐.
-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NTG, 강력한 혈관확장제)으로 완화됨.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MI)
- 혈액 공급 차단/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심근의 괴사.
- 40대 이후 남성에게 주로 발생함.
- 가슴이 타는 듯한 극심한 흉통이 나타남. 5~15분간 지속됨.
- 어깨, 팔, 등, 목, 턱 등으로 통증이 퍼짐.
-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완화되지 않음.
관상동맥 성형술
PCI(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경피경혈관심장동맥확장술)
- 스탠스 삽입술
- 풍선술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 심장동맥 우회로 수술)
심장의 염증
심내막염(endocarditis)
① 류마티스성 심내막염
- 류마티스열의 부분 현상으로 A형 연쇄구균 감염과 관련됨.
- 승모판에서 주로 발생
② 세균성 심내막염
- 1차 감염증과 균혈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판막에 염증 발생됨.
- 패혈성 색전증 가능성이 높음
심근염(myocarditis)
심장판막질환
- 승모판 협착증(mitral stenosis) → 좌심방 비대, 확장, 폐울혈 등
- 승모판 폐쇄부전(mitral insufficiency): 심장 수축기에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역류 발생
→ 좌심실 확장, 비대
- 대동맥 협착증(aortic stenosis) → 심장근 비대
- 대동맥 폐쇄부전(aortic insufficiency): 대동맥으로 나간 혈액이 역류됨
→ 심장 확장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의 지방성분, 주로 콜레스테롤이 쌓여 동맥벽이 두꺼워져 동맥벽의 탄력성이 소실되고, 섬유화 되어 딱딱하게 변함.
혈관의 염증
버거씨병(폐쇄성 혈전성 혈관염, Burger's disease)
- 하지 세동맥에 주로 일어나는 혈전 형성을 동반한 혈관염.
- 일시적으로 다리를 절고 팔다리에 냉감을 느낌.
- 흡연자와 중년 남성에게 주로 발생함.
동맥류(aneurysm)
- 동맥벽이 손상/이상을 일으켜 동맥 내부 공간의 일부분이 늘어나 생긴 주머니 모양의 병소.
- 동맥이 늘어나서 생긴 혹.
- 혈관이 늘어난 곳에서 맥박이 뜀.
- 피 흐를 때 쉭쉭 소리가 남.
- 동맥경화증, 매독 등이 원인.
- 결찰해 잘라내거나 막는 처치가 필요함. 만약 동맥류가 파열된다면 심각한 상황이 발생함.
'간호학과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리학: 조혈장기 질환 - 적혈구 질환 (0) | 2021.08.10 |
---|---|
간호학과는 1학년 때 뭘 배울까요?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