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소영 | Lee So-Young | 레프트 | 176cm | 1994년 10월 17일 | KGC인삼공사 |
3 | 염혜선 | Yeum Hye-Seon | 세터 | 177cm | 1991년 2월 3일 | KGC인삼공사 |
4 | 김희진 | Kim Hee-Jin | 라이트 | 185cm | 1991년 4월 29일 | IBK기업은행 |
7 | 안혜진 | Ahn Hye-Jin | 세터 | 175cm | 1998년 2월 16일 | GS칼텍스 |
8 | 박은진 | Park Eun-Jin | 센터 | 187cm | 1999년 12월 15일 | KGC인삼공사 |
9 | 오지영 | Oh Ji-Young | 리베로 | 170cm | 1988년 7월 11일 | GS칼텍스 |
10 | 김연경 (C) | Kim Yeon-Koung | 레프트 | 192cm | 1988년 2월 26일 | 상하이 유베스트 |
11 | 김수지 | Kim Su-Ji | 센터 | 188cm | 1987년 6월 20일 | IBK기업은행 |
13 | 박정아 | Park Jeong-Ah | 라이트 | 187cm | 1993년 3월 26일 | 한국도로공사 |
14 | 양효진 | Yang Hyo-Jin | 센터 | 190cm | 1989년 12월 14일 | 현대건설 |
16 | 정지윤 | Jeong Ji-Yun | 라이트 | 180cm | 2001년 1월 1일 | 현대건설 |
19 | 표승주 | Pyo Seung-Ju | 레프트 | 182cm | 1992년 8월 7일 | IBK기업은행 |
이번 글은 4번 김희진 선수에 대한 글이다.
김희진 선수의 아버지는 육상선수였고, 어머니는 테니스 선수를 하였는데, 그 운동신경을 그대로 물려받았는지 김희진 선수의 운동신경 또한 출중하다.
김희진 선수는 초등학교 4학년 때 다이어트 목적으로 육상부 높이뛰기 선수로 활동하다가 초등학교 5학년 말에 두각을 드러내며 소년체육대회에서 높이뛰기에서 우승하였고, 육상계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러다 초등학교 6학년에 높이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키가 175cm을 넘으면서 농구부와 배구부에서 러브콜이 왔다. 그때 아빠가 농구보다는 배구를 추천하였고, 또한 서울 중앙여중의 감독의 적극적인 스카웃으로 서울로 올라와 서울 중앙여중에서 배구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3학년에 봄철 대회에서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고, 중앙여고를 다닐 때는 청소년 대표로도 뽑혀 세계 주니어 선수권대회에서 활약하였고, 중고연맹전 2연패를 이끌기도 했다.
중3 때부터 큰 키와 골격, 중학생 수준을 넘긴 파워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다 2009년 고3 때 국가대표로 뽑혀서 FIVB 월드그랑프리에서 활약했다. 이후 IBK기업은행에 입단하여 지금까지도 몸 담고 있다.
박정아 선수에게 밀려 신인왕은 아쉽게 수상하지 못 했지만 런던 올림픽 최종예선대회에서 활약을 했다. 이때 '제 2의 김연경'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여자배구 대표팀에서 김연경 선수와 양효진 선수와 더불어 에이스로 활약하고 있다.
하지만 잦은 부상을 겪는다.
2016년 블로킹을 하다가 손가락 부상을 당하고 손가락 수술을 받았다. 이때 제대로 재활을 하지 못한 채 수술 후 20일만에 경기에 투입되어 밸런스가 깨지게 되었다고 한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김연경과 같이 출연한 예능에서 부상당했던 손가락이 제대로 펴지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18년에는 어깨와 손목 등에 전치 4주의 부상을 입어 팔렘방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에서 빠졌고, 올해 5월에는 무릎이 부서져 뼛조각 제거 수술을 하며 2021년 6월 2021 VNL 대회 참가선수 25인 명단에서 제외되었었다. 하지만 김희진 선수는 김연경 선수와의 마지막 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재활을 계속해서 하였고 마침내 2020 도쿄 올림픽에 출전했다.
185cm 신장과 높은 점프력(스파이크 높이 300cm, 블로킹 높이 295cm)을 이용해 아포짓과 미들히터 두 포지션을 담당하는 다재다능한 선수이다.
아포짓은 쉽게 말하면 가장 공격을 많이하는 스파이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파이크 높이와 블로킹 높이가 거의 김연경 선수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신장 대비 점프력은 김연경 선수를 앞선다고 봐야한다. 그리고 큰 키에도 민첩한 움직임을 가지고 있고, 민첩성과 높이를 이용한 이동공격을 하며, 처리하기 어려운 공도 공격으로 연결하는 플레이를 한다. 게다가 구사하기 어려운 후위공격도 자유자재로 구사한다. 이뿐만 아니라 서브도 강력한데 폼은 단순해 보이지만, 탄력이 있을 뿐더러 무회전 서브를 자주 넣어 리시브하는 입장에서 받기가 까다로운 편이다.프로 팀에서는 거의 센터로 뛰고 있는데, 국가대표 팀에서는 주로 라이트로 뛰고 있다. 2014년 인천 아시아게임에서 센터로 출전했을 당시 많은 득점을 이뤄냈다.
여담으로 데뷔 때부터 숏컷을 쭉 유지해와서 희진이형이라는 별명이 있다. 잘 생겨서 존잘이라고 불린다. 단발까지 기른 적이 있었는데 꽤 잘 어울렸다.
김희진 선수의 인스타 계정은 @geurujam_ 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박정아 선수 (0) | 2021.08.04 |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김연경 선수 (0) | 2021.08.04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염혜선 선수 (0) | 2021.08.04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이소영 선수 (0) | 2021.08.04 |
18~49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일정 및 예약 안내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