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소영 | Lee So-Young | 레프트 | 176cm | 1994년 10월 17일 | KGC인삼공사 |
3 | 염혜선 | Yeum Hye-Seon | 세터 | 177cm | 1991년 2월 3일 | KGC인삼공사 |
4 | 김희진 | Kim Hee-Jin | 라이트 | 185cm | 1991년 4월 29일 | IBK기업은행 |
7 | 안혜진 | Ahn Hye-Jin | 세터 | 175cm | 1998년 2월 16일 | GS칼텍스 |
8 | 박은진 | Park Eun-Jin | 센터 | 187cm | 1999년 12월 15일 | KGC인삼공사 |
9 | 오지영 | Oh Ji-Young | 리베로 | 170cm | 1988년 7월 11일 | GS칼텍스 |
10 | 김연경 (C) | Kim Yeon-Koung | 레프트 | 192cm | 1988년 2월 26일 | 상하이 유베스트 |
11 | 김수지 | Kim Su-Ji | 센터 | 188cm | 1987년 6월 20일 | IBK기업은행 |
13 | 박정아 | Park Jeong-Ah | 라이트 | 187cm | 1993년 3월 26일 | 한국도로공사 |
14 | 양효진 | Yang Hyo-Jin | 센터 | 190cm | 1989년 12월 14일 | 현대건설 |
16 | 정지윤 | Jeong Ji-Yun | 라이트 | 180cm | 2001년 1월 1일 | 현대건설 |
19 | 표승주 | Pyo Seung-Ju | 레프트 | 182cm | 1992년 8월 7일 | IBK기업은행 |
이번 글의 주인공은 박정아 선수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SQwO/btra9Wgx8sl/oo7kLrejDSiegRva3YywUk/img.jpg)
박정아 선수는 초등학교 4학년에 배구를 시작했다. 김연경 선수가 배구 꿈나무 8명을 선정해서 매달 20만원씩 2년 간 후원을 해줬었는데, 그 중 한명이다. 중학생 때는 그렇게까지 뛰어난 선수가 아니었다. 고등학생 때 키가 크면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힘과 높이를 둘 다 갖춰서 제2의 김연경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IBK 기업은행에 입단하여 2017년까지 있다가 한국도로공사로 이적해 활동 중이다.
플로터 서브에서 스파이크 서브로 바꿔 3연속 서브 에이스를 기록하는 모습도 보이며 서브가 강해졌다.
또한 디그가 조금 늘었다. 원래 1점대에 머물었던 점을 고려하면 2점으로 오른 것은 수비도 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서브 리시브가 약한 편이다. 박정아는 V-리그에서 리시브에 참여하지 않는 공격형 레프트이기 때문에 국제대회에서 자신에게 쏟아지는 목적타가 큰 부담이 됐을 것이다. 선수 본인도 약하다는 것을 알고 연습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도쿄올림픽에서도 생각보다는 괜찮은 리시브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2018년에 무릎 수술을 받았다. 재활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 대표팀에 합류했다.
박정아 선수는 2009년 고등학교 2학년이었을 때 김희진 선수와 함께 FIVB 그랜드챔피언스컵 대회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김연경 선수를 보조하거나 공격옵션 중 하나로 기대를 모았었다. 자신을 후원해주던 김연경 선수와 함께 국가대표 선수로 선발되어 같은 코트에서 뛰게 된 것이다.
2014 FIVB 월드그랑프리에서는 부상으로 빠진 양효진을 대신해 센터 포지션을 맡았다. 갑자기 투입된 경기여서 다소 아쉬웠지만, 이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자신의 몫을 다 해내며 첫 국제대회 금메달을 따냈다.
2018 FIVB 세계선수권대푀에서 김연경이 지쳐있을 때 이를 대신하여 자신이 맡은 바를 다했고, 1-3으로 패한 미국전에서 26득점을 하였다.
18-19 시즌이 끝난 후 무릎 수술을 받아 비시즌기에 재활이 끝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 열린 월드컵에 합류하여 1년전 미국전에서와 비슷하게 활약을 했다.
2021 VNL에서는 김희진 대신 주전 아포짓스파이커로 출전했다.
앞서 말했 듯 2020도쿄올림픽에서 리시브를 어느정도 잘 버티고 있다.
수비는 좀 딸리는 편이지만 공격력은 탑이다. 신장 187cm로 공격 타점이 높고 페이크도 잘 활용해 득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클러치 상황에서 해결 능력이 좋아서 중요한 상황에서 박정아의 공이 큰 경우가 많다. 역시 앞서 말했던 수비가 발을 잡는다. 이 문제는 리우 올림픽에서 크게 부각되었다. 계속해서 목적타를 맞아 구멍이 되어 계속해서 점수를 내어졌고 게임이 터졌다. 하지만 박정아 선수도 이 문제를 잘 알고 있어 리우 대참사 이후로 매일 수백개씩 리시브 연습을 했다고 한다. IBK에서 도로공사로 이적할 때 리시브 면제 신세를 벗어나고 싶어서 이적을 결심했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이적했을 때의 말과는 달리, 리시브하는 선수만 달라졌을 뿐,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국가대표팀에서는 백업 아포짓이나 주전 아웃사이드 히터로 들어가서 리시브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리우 이후에서는 점점 좋아지고 있다. 이번 도쿄올림픽만 봐도 성장한 박정아 선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성장하고 있는 모습이 너무 멋지다고 생각한다. 곧 있을 4강전도 파이팅해서 이겼음 좋겠다.
박정아 선수의 인스타 공계 계정은 @jeong333333333 이다.
https://www.instagram.com/jeong333333333/
리우 올림픽 당시 위 계정으로 테러를 받아서 공식 계정을 닫고 비공개 계정을 만들었다.
아직도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고 있다.
비공계 계정은 @__jeongah__ 이다.
https://www.instagram.com/__jjeongah__/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도쿄올림픽] 여자배구 4강 브라질과 리매치 확정 (0) | 2021.08.05 |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양효진 선수 (0) | 2021.08.04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김연경 선수 (0) | 2021.08.04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김희진 선수 (0) | 2021.08.04 |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염혜선 선수 (0) | 2021.08.04 |